대학원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
Department of Fine Art

홍보영상



학과전공분야

미술학

학과소개

본 학과의 대학원 과정은 한국화, 서양화, 조소, 미술이론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전공실기와 이론 수업을 통하여 현대미술에 대한 의식과 표현능력을 고양하고 조형예술 전반에 대한 유기적 상화연관성을 체득하게 함으로써 작가적 자질을 개발하여 지역미술과 국내미술 발전의 일익을 담당하는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작가 및 지도력 있는 인력을 육성한다.

학과내규
  1. 각 실기전공의 졸업예정자는 논문제출 자격 취득을 위한 조건으로 3학기를 전후로 개인전을 개최해야 한다.
    개인전은 ‹석사학위청구전›에 관한 규정에 준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2. 미술이론 전공(2010년 1월 신설)은 미술이론 관련수업 18학점 이수를 원칙으로 한다.
학과교수소개
학과교수소개전공별, 직급, 성명, 학위명, 전공분야(B)로 구성된 학과교수소개를 나타내는 표
전공별 직급 성명 학위명 전공분야(B)
미술학 교수 권정임
철학박사
미학
교수 이재선
미술학 석사
한국화
교수 정기웅
미술학 석사
조소
교수 양화선 미술학 박사 서양화

전공별(A)는 학과에 개설된 전공명임.

미술학 석사전공분야(B)는 해당교수의 전공분야임

교육과정
교육과정공통필수, 대학원 논문연구 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보여주는 표
공통필수 대학원논문연구
공통선택
  • 조형예술특론
  • 작품해석과 비평연습
  • 예술사상특론
전공선택 한국화
  • 시각매체론
  • 한국화표현기법1
  • 한국화표현기법2
  • 한국화표현기법3
  • 현대동양화론
  • 한국화재료 및 기법
  • 한국회화사
서양화
  • 시각매체론
  • 서양화표현기법1
  • 서양화표현기법2
  • 서양화표현기법3
  • 현대서양화론
  • 서양화재료 및 기법
  • 서양회화사
조소
  • 조소표현기법1
  • 조소표현기법2
  • 조소표현기법3
  • 현대 조각론
  • 조각재료 및 기법
  • 조각사
미술이론
  • 미술전시기획론
  • 미술비평론연구
  • 현대미술의 미학

교육대학원
Department of Fine Art

교육목적

오늘날에는 미술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높아지고 미술교육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이 더욱 필요하다. 이론과 실기의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를 이끌어갈 미술교육 전문가로서의 자질과 지도력을 갖추게 하여 창조적인 조형능력을 지닌 전문직으로서의 미술교사인 동시에 예술창작을 위한 작가로서 현대미술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인재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사안내
학사안내수업방법, 수업연한, 수업방법으로 구성된 학사안내를 나타내는 표
수업방법 수업연한 수업방법
계절제 3년(6학기)
  • 여름 및 겨울방학기간 중 각각15일간 출석수업
  • 전공 및 일반교육학 수업시간 : 오전9시 ~ 오후4시
  • 교직선수 수업시간 오후4시~9시
교과과목

교과과목교과구분, 교과목명 으로 구성된 교과과목을 보여주는 표
교과구분 교과목명
계절제
  • 논문연구
  • 미술교육연구
  • 미술교재 및 지도법연구
  • 미술교과 논술연구
교과내용학
  • 한국화연구
  • 서양화연구
  • 조소연구
  • 공예디자인연구
  • 시각디자인연구
  • 현대예술사조특강
  • 미술감상 및 비평
  • 표현기법연구
  • 환경과 조형
  • 영상매체연구
  • 창작발상론
  • 미술재료학특강
전공선수
  • 기초실기
  • 미학개론
  • 서양미술사, 한국미술사 - 택1